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생활정보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환급 후기

by 뭐니money 2024. 4. 23.

 

 

에코마일리지

 

 

 

얼마 전에 에코마일리지를 받게 되었다는 문자를 받았다. 

 

 

에코마일리지 적립 문자

 

 

 

일단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했다. 

아이디, 비밀번호를 몰라도 간편인증(민간인증서)으로 로그인이 가능해서 편하다. 

오~ 사용가능 마일리지 50,000점!!!

 

 

나의 에코마일리지

 

 

 

그런데 누적 마일리지가 100,000점??? 

 

마일리지 내역을 확인해보니

소멸포인트(만료일 지남) 50,000점... 또르르 ㅠㅠ

사용기한이 지급 후 5년인데 5년 넘게 모르고 있었다니... ㅠㅠ

 

앞으로는 문자나 알림이 오면 잘 확인해 봐야겠다!!!

 

지나간 건 어쩔 수 없으니 잊어버리고... 또르르 ㅠㅠ

다시 마일리지가 소멸되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 바로 에코마일리지 사용방법을 찾아봤다. 

 

에코마일리지 사용방법은 기부, 상품권 신청, 타기관 상품으로 전환 등 여러가지가 있다. 

 

 

에코마일리지 사용방법

 

 

 

에코마일리지 사용방법

  1. 기부
    에너지 빈곤층을 위한 기부(서울에너지플러스)
  2. 서울시 ETAX
    현금전환 및 지방세 납부(ETAX/STAX)
  3. 온누리 상품권
  4. 모바일 도서문화상품권
  5. 지류 도서문화상품권
  6. 아파트 관리비 납부
  7. 가스앱 캐시 전환
  8. 서울사랑상품권
  9. 에코머니 카드 포인트 전환(차후 서비스 예정)

 

 

여러가지 사용방법 중 각자 필요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 

나는 처음에는 서울사랑상품권 전환으로 신청하려고 했는데

'현금전환' 이라는 문구를 보고 바로 서울시 ETAX 를 클릭했다. 

 

현금이 최고지!!!

 

현금전환을 원할 경우에는

서울시 ETAX 를 클릭하면 바로 서울시 ETAX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1. 아래 메뉴가 보이면 마일리지를 선택한다. 

 

마일리지 메뉴 선택

 

 

2. 마일리지 가져오기

통합에코 마일리지를 클릭해서 먼저 마일리지를 가져온다. 

 

마일리지 가져오기(통합에코마일리지) / 마일리지 사용하기(계좌이체)

 

 

3. 마일리지 사용하기

계좌이체 버튼을 눌러서 내 계좌로 이체를 진행한다. 

 

 

에코마일리지를 ETAX 마일리지로 전환하자마자 바로 계좌이체를 진행했는데 

'이체가능 마일리지가 부족합니다' 라는 문구의 팝업창이 떠서 당황했다. 

 

 

이체가능 마일리지가 부족합니다

 

 

ETAX 마일리지 전환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2은행영업일,

평일인 경우에는 1은행영업일 16시 이후 계좌이체 신청이 가능하다고 나온다. 

 

에코마일리지를 ETAX 마일리지로 전환하자마자 바로는 계좌이체가 안되나보다. 

 

다음날 4시 이후에 계좌이체 성공했다 :)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를 둘러보니,

에코마일리지에는 에코마일리지 건물이 있고 에코마일리지 승용차가 있다. 

 

내가 받은건 에코마일리지(건물)이다. 

 

1. 에코마일리지(건물)

에코마일리지(건물)
서울시 내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전기, 수도, 도시가스 등 에너지를 절약한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서울시 대표 서비스

 

참여대상

  • 개인회원 : 주민등록지상 서울시 거주 시민(마일리지는 가구 대표 1인에게만 지급)
  • 단체회원 : 서울시 내 법인, 개인사업자, 단체 등으로 공공기관 및 2,000TOE 이상 에너지다소비사업장, 학교, 아파트 단체회원은 지급대상에서 제외

마일리지

  • 개인회원 : 5% 이상 에너지 절감 시 1~5만 마일리지 차등 지급
  • 단체회원 : 10% 이상 에너지 절감 시 건물 규모에 따라 최대 1천만원 지급
    공공기관 및 2,000TOE 이상 에너지다소비사업장, 학교, 아파트단체회원은 지급대상에서 제외

 

 

2. 에코마일리지(승용차)

에코마일리지(승용차)
시민이 자율적으로 자동차 운행거리를 줄여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에 기여하면 
서울시에서 감축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용해주는 시민실천운동이다. 

 

참여대상

  • 서울시에 등록된 12인승 이하 비사업용 승용차, 승합차 소유자
     1인 다차량 등록 가능하며 공동 소유자의 경우 대표자만 가입 가능

 마일리지

  • 정기 마일리지 : 1년 단위로 주행거리 감축 정도에 따라 2~7만 마일리지 차등 지급
  • 지속 마일리지 : 1년 단위로 서울시 연평균 주행거리 이하로 운행 시 1만 마일리지 지급(정기 마일리지 지급 대상 차량 제외)
    ※ 2023년 7월 정기 평가부터 적용(22년 5월 이후 주행거리)
  •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특별포인트 : 12월~3월간 서울시 평균 주행거리의 50% 이하로 운행 시 1만 마일리지 추가 지급 
    ※ 매년 서울시 평균 주행거리 변동(교통안전공단)

 

에코마일리지(건물)은 최대가 5만 마일리지인데,

에코마일리지(승용차)는 더 많은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으니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꼭 신청하는걸 추천한다. 

 

나는 뚜벅이라...

부모님께 알려드리고 에코마일리지 등록해 드려야겠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에서...

 

 

에코마일리지

 

ecomileage.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