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국내주식 거래시간, 동시호가 정리

by 뭐니money 2024. 4. 25.

 

국내주식 거래시간


  • 정규시간 : 09:00 ~ 15:30

  • 동시호가
    - 장 시작 : 08:30 ~ 09:00
    - 장 마감 : 15:20 ~ 15:30

  • 시간외 종가
    - 장 전 : 08:30 ~ 08:40 (전일 종가로 거래)
    - 장 후 : 15:40 ~ 16:00 (당일 종가로 거래)

  • 시간외 단일가 : 16:00 ~ 18:00 (10분 단위로 체결, 당일 종가 대비 ±10% 가격으로 거래)

 

*거래소 상황에 따라 따라 주문가능시간은 변동될 수 있다.

 

 

국내주식 시장의 거래시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본다.

국내주식 거래의 정규시간은 09:00 ~ 15:30 이다.

하지만 주식시장은 그보다 30분 먼저 시작된다. 

 

 

 

동시호가


 

동시호가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장 시작 전 8시 30분부터 9시까지 진행되는 장 시작 동시호가와, 장 마감 전 3시 20분부터 3시 30분까지 진행되는 장 마감 동시호가가 있다.

 

장 시작 전 동시호가는 오전 8시 30분부터 시작되지만, 호가창은 오전 8시 40분부터 공개되며, 호가는 위아래 3개씩만 보여진다. 

 

정규시간에는 실시간으로 주문이 체결되지만, 동시호가 시간에는 주문이 실시간으로 체결되지 않는다. 

그런데 정규시간이라 하더라도 3시 20분부터 3시 30분까지는 장 마감 동시호가 시간이므로 실시간 체결이 되지 않는다. 

동시호가 시간 동안에는 매수와 매도 주문 접수만 받고, 이 시간 동안 누적된 주문은 장 시작 동시호가는 오전 9시에, 장 마감 동시호가는 오후 3시 30분에 한꺼번에 체결된다. 이 시간 동안 접수된 주문은 같은 시간에 들어온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주식 체결은 가격 > 시간 > 수량 우선순위로 체결이 되는데, 동시호가는 다 같은 시간대에 주문이 접수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시간 우선의 원칙이 배제된다.

이렇게 결정된 하나의 가격이 바로 동시호가이고, 이렇게 체결된 가격이 그날의 시가와 종가가 된다. 

즉, 장 시작 동시호가를 통해 그 날의 시가가 결정되고, 장 마감 동시호가를 통해 그 날의 종가가 결정되는 것이다. 

 

시가는 시초가, 시작가로 불리기도 하며 주식거래 정규장이 시작하는 오전 9시에 형성되는 주식 가격을 말한다. 

종가는 정규장이 마감되는 시간에 결정되는 주가를 말한다. 즉, 오후 3시 30분에 해당 종목의 종가를 알 수 있다. 

 

 

동시호가 제도는 왜 필요할까?

일반적으로 주식 거래는 장 시작 시간과 장 마감 직전에 몰리는 경향이 있다.

갑자기 밤 사이에 어떤 사건으로 인해 다음날 장 시작 전에 주문이 폭주 할 경우, 원활하게 진행되기 힘들고 갑작스러운 주문 폭주로 주가가 왜곡될 수도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 동시호가 제도가 있는 것이다. 

 

즉, 동시호가는 갑작스러운 주가의 변동을 막기 위한 제도다. 

 

 

동시호가는 어떻게 결정될까?

정규거래시간에는 어느 주문을 먼저 체결시킬지에 대한 원칙이 있다. 가격 > 시간 > 수량 우선순위로 가격이 시간에 우선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동시호가 시간에 들어온 주문은 시간 우선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즉, 오후 3시 20분에 들어온 주문이나 오후 3시 29분에 들어온 주문이나 같은 시간에 접수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동시호가로 주문을 할 경우에는 서두를 필요 없이, 막판까지 주가를 지켜보다가 주문을 넣어도 되는 것이다. 동시호가가 시작되면 일부러 높은 호가로 주문을 넣고 장 시작 전에 주문을 취소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그래서 초반에 주문을 내지 말고 동시호가가 끝나기 1~3분 정도 전에 호가창을 보면서 주문을 넣는 것이 좋다. 

 

동시호가는 가격, 그리고 주문량에 따라서 거래가 체결된다.

만약 동시호가 시간인데 어떤 종목을 꼭 사고 싶다면, 현재 주가보다 조금 더 비싼 가격을 써서 내는 것도 방법이다.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10,000원인 경우 10,500원으로 매수 주문을 낸다면, 가격 우선의 원칙에 따라 이 주문이 10,000원에 낸 주문보다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내 주문을 동시호가 시간대에 체결시키고 싶다면, 매도할 때는 조금 싼 가격에, 매수할 때는 조금 비싼 가격에 주문을 내야 체결될 가능성을 좀 더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장 낮은 가격에 나온 매도 주문,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매수 주문을 가장 먼저 체결시키는 것이다.